The Week On-chain W25
Executive Summary
- 뉴스에 따라 출렁이는 시장 : 지정학적 긴장이 고조되자 비트코인은 한때 $99,000까지 하락했지만, 긴장 완화 보도가 전해지며 곧바로 $106,000까지 반등했습니다.
현재 가격은 5월 초 이후 줄곧 유지돼온 $100,000~$110,000 구간 내에서 박스권 흐름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 $93,000~$100,000, 강력한 지지선으로 작용 중 : CBD 히트맵에 따르면, 2025년 1분기 동안 이 가격대에서 매수세가 집중되며 두터운 매물대가 형성됐습니다. 이 지지 구간 위에서 가격이 유지되는 한, 중기적인 상승 추세는 유효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 차익 실현과 활동 지표 모두 둔화세 : 사이클 내 세 번째 주요 상승 구간 이후 차익 실현은 점차 줄고 있으며, 온체인 전송량도 약 32% 감소했습니다. 현물 거래량 역시 77억 달러 수준으로 낮은 흐름을 보이며, 전반적으로 투자자 참여가 줄고 있는 모습입니다.
- 선물 시장은 활발하지만 확신은 약화 : 선물 거래는 여전히 활발하지만, 미결제약정은 7% 줄었고 롱·숏 모두에서 청산 규모가 크게 늘었습니다.펀딩비와 3개월 선물 베이시스도 하락세를 이어가며, 레버리지 투자를 통한 상승 기대감은 다소 약화된 모습입니다.
- 모멘텀 둔화, 하락 위험은 제한적 : 시장 관망세가 이어지고 있으며, 가격이 다시 상승하려면 수요, 매매 활동, 그리고 투자 심리가 뚜렷하게 개선될 필요가 있습니다.
뉴스 한 줄에 출렁이는 가격
주말 사이 비트코인은 지정학적 긴장 속에 $99,000까지 하락하며, 단기 보유자의 평균 매입 단가인 $98,200 부근 지지선을 시험했습니다. 하지만 긴장 완화 관련 보도가 전해지자 반등에 성공해 $106,000까지 회복했습니다.
현재는 다시 $100,000~$110,000 구간으로 복귀하며, 5월 8일부터 이어진 박스권 흐름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주요 지지 구간 확인
CBD 히트맵 분석 결과, $99,000선까지 하락했을 때 비트코인은 $93,000~$100,000 구간의 매물대 상단에서 지지를 받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 가격대는 2025년 1분기 고점 형성 이후 거래가 집중됐던 구간으로, 구조적으로 중요한 의미를 가집니다. 가격이 이 범위 위에서 유지되는 한 상승 구조는 유효합니다. 다만 이탈할 경우, 해당 가격대에서 진입한 투자자들의 손절 매물이 출회되며 하방 압력이 커질 수 있습니다.
레버리지 청산, 양방향으로 확대
주말 동안의 급격한 변동성으로 인해 선물 시장에서는 하루 만에 롱 포지션 2,860만 달러, 숏 포지션 2,520만 달러 규모의 청산이 발생했습니다. 이는 시장 심리가 주요 뉴스에 따라 얼마나 빠르게 반전될 수 있는지를 보여줍니다. 같은 기간 BTC 기준 미결제약정은 약 360,000 BTC에서 334,000 BTC로 7% 감소했습니다. 투기성 포지션이 정리되면서 파생상품 시장에서 포지션이 재정비되는 모습입니다.
비트코인이 $100,000~$110,000 구간을 다시 회복했음에도 불구하고, 차익 실현과 온체인 활동 지표는 식어가는 모습입니다. 이런 흐름은 변동성이 줄고 투자자 참여가 감소하는 조정 국면에서 흔히 나타나는 패턴입니다. 이 같은 흐름이 이어진다면, 사상 최고가 돌파 가능성은 제한적일 수밖에 없습니다. 현재 시장은 이전 상승분을 소화하며 새로운 모멘텀과 수요 유입을 기다리고 있는 상황입니다.
차익 실현 감소, 거래량도 둔화
투자자들의 차익 실현 흐름을 살펴보기 위해, 30일 이동평균 기준 차익 실현 규모와 2020~2022년 및 현재 상승장에서의 누적 차익 실현 규모를 비교했습니다. 이를 통해 사이클별 자본 순환의 변화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2020~2022년 시장에서는 비트코인 투자자들이 여러 차례 랠리, 특히 두 번의 큰 상승 구간을 거치며 약 5,500억 달러 규모의 차익을 실현했습니다. 현재 사이클에서는 차익 실현 규모가 이미 6,500억 달러에 도달해 이전 사이클의 총합을 넘어섰습니다.
현재 시장은 세 번째 주요 차익 실현 구간 이후 과열이 완화되는 모습으로, 큰 폭의 차익 실현이 이어진 뒤 실현 규모가 점차 줄어들면서 시장의 열기도 서서히 식어가는 상황입니다.
주요 활동 지표 전반에서도 비슷한 과열 완화 흐름이 나타나고 있습니다. 온체인 전송량의 7일 이동평균은 5월 말 760억 달러에서 최근 주말 기준 520억 달러로 약 32% 감소했습니다.
2024년 2분기와 4분기의 사상 최고가 랠리와 달리, 최근 111,000달러 돌파 시도에서는 현물 거래량 급증이 동반되지 않았습니다. 현재 현물 거래량은 77억 달러 수준으로, 이번 상승장의 정점 대비 크게 낮은 수준입니다. 이러한 괴리는 투기 심리가 약화되며 시장이 관망세를 이어가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한편 선물 시장 거래량도 몇 주째 줄어들며 전반적인 시장 피로감을 반영하고 있습니다. 다만 현물 시장과 달리, 선물 시장 참여자들은 111,000달러 돌파 시도 때까지 활발히 거래했습니다. 이는 최근 가격 흐름에서 레버리지 중심의 포지션이 더 큰 역할을 했다는 점을 시사합니다.
하지만 선물 시장의 공격적 포지션 확대 흐름도 2025년 1분기 사상 최고가 이후 점차 약해지고 있습니다. 펀딩비(연율 기준)와 3개월물 선현물 가격 차이(롤링 베이시스)는 모두 하락세를 이어가며, 거래량이 유지되는 가운데서도 롱 포지션 진입 열기는 줄고 있습니다. 이는 시장의 투기 심리가 점차 신중해지고 있다는 점을 보여줍니다. 또한 현물-선물 차익거래(cash & carry) 포지션이 늘어나거나, 숏 포지션 비중이 확대되고 있을 가능성도 시사합니다.
결론 및 시사점
비트코인은 현재 $100,000~$110,000 구간에서 박스권 흐름을 이어가고 있으며, 최근 가격 움직임은 거시경제 뉴스로 인한 급격한 가격 변동 속에서 전개되고 있습니다. CBD 히트맵을 보면 $93,000~$100,000 구간에서 강한 지지선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구간은 2025년 1분기 고점 형성 당시부터 중요한 매물대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하지만 시장 피로감 신호도 점차 나타나고 있습니다. 차익 실현 규모는 줄고 있고, 온체인 활동도 둔화되고 있으며, 최근 사상 최고가 돌파 시도에서도 현물 거래량이 크게 늘지 않았습니다. 선물 시장 참여는 활발했지만, 펀딩비와 3개월물 선현물 가격 차이(롤링 베이시스)는 하락세를 이어가며 투기 심리가 점차 신중해지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핵심 지지선 위에서 가격을 유지하는 한 상승 추세는 이어지겠지만, 수요와 투자 심리가 회복되지 않는다면 단기적으로 사상 최고가 돌파 가능성은 제한적일 수 있습니다.
면책 조항 (Disclaimer)
이 보고서는 투자 조언을 제공하지 않으며, 모든 데이터는 정보 제공 및 교육 목적입니다. 여기 제공된 정보에 근거해 투자 결정을 내려서는 안 되며, 투자 결과에 대한 책임은 전적으로 본인에게 있습니다.
거래소 보유량 데이터는 공식 발표 자료와 Glassnode의 독자적인 주소 클러스터링 알고리즘을 통해 수집됩니다. 최대한 정확한 수치를 제공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으나, 일부 거래소가 공식 주소를 공개하지 않는 경우 전체 보유량이 완벽히 반영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데이터 활용 시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Glassnode는 데이터 불일치나 오류에 대해 책임지지 않습니다.
거래소 데이터 사용 시 Glassnode의 투명성 안내문을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 글래스노드 텔레그램 채널에 참여해 보세요.
- 온체인 지표, 대시보드, 알림 설정은 Glassnode Studio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